티스토리 뷰

목차



    근로자가 꼭 알아야 할 2025년 주휴수당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보장된 수당으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으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2025년 주휴수당 월급 계산기
    2025년 주휴수당 월급 계산기

     

     

     

     

     

     

     

     

    1.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간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 급여예요.

    이는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고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한 제도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2. 2025년 주휴수당 지급 기준

     

    2025년에도 주휴수당 지급 기준은 유지됩니다.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 근로일 개근 (지각, 조퇴는 결근으로 보지 않음)
    • 고용 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등)와 관계없이 적용
    • 4인 이하 사업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3. 2025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은 주간 근로 시간이 40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집니다.

     

     

     

     

     

     

     

    (1)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 계산식: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 예시: 하루 8시간 근무, 시급 10,030원일 경우
      • 8시간 × 10,030원 = 80,240원

    (2) 주 40시간 미만 근무하는 경우

    • 계산식: (주 소정근로시간 ÷ 40) × 8시간 × 시급
    • 예시: 주 20시간 근무, 시급 10,030원일 경우
      • (20시간 ÷ 40) × 8시간 × 10,030원 = 40,120원

     

    4. 2025년 주휴수당 변경 사항

     

    2025년에는 몇 가지 변화가 있습니다.

     

    ✅ 2025년 최저임금 조정

    • 2024년: 9,860원 → 2025년: 10,030원 (1.7% 인상)
    • 주휴수당 기준 시급이 상승
    • 월 최저임금 2,096,270원으로 조정

    ✅ 최저임금 산정 범위 확대

    • 정기 상여금 및 복리후생비 전액 포함 (2024년부터 적용)
    • 2025년에도 동일 적용

    5. 주휴수당 지급 시 주의해야 할 점

     

    1) 월급제 근로자

    •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된 경우 별도 지급하지 않아도 됨

    2) 근무 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 4주 평균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 대상

    3) 결근 시 주휴수당 지급 불가

    • 해당 주에 결근이 발생하면 주휴수당 지급 안 됨

    4) 한 달이 4주 이상일 경우

    • 주휴수당 계산 시 조정 필요 (월 단위 급여일 경우 고려)

    5) 입사 및 퇴사 주의 사항

    • 입사 첫 주: 1주일(7일) 근무하지 않으면 주휴수당 지급 안 됨
    • 퇴사하는 주: 주휴일 전에 퇴사하면 주휴수당 지급하지 않아도 됨

     

    6. 주휴수당 지급 예외 대상

     

    다음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 (4주 평균 기준)
    • 퇴사하는 주에 주휴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 감시·단속적 근로자 (특별 승인된 경우)
    • 입사 후 첫 주에 7일을 근무하지 않은 경우

     

    7. 주휴수당 계산 시 참고할 사항

     

    • 근로계약서를 확인하여 소정 근로일과 시간을 점검하세요.
    • 주간 근로 시간을 정리해 주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를 체크하세요.
    • 급여 명세서를 통해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확인하세요.

     

    8. 결론

     

    2025년에도 주휴수당 지급 기준과 계산법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 및 월급 조정을 반영하여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며, 이를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간주되어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본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사업주는 법적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