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내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하며, 기초생활보장 및 다양한 복지 급여 기준으로 활용했습니다.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를 고시하며,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단위: 월/원)
가구원 수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중위소득 300% | 7,176,039 | 11,797,974 | 15,076,059 | 18,293,319 | 21,324,576 | 24,194,415 |
중위소득 200% | 4,784,026 | 7,865,316 | 10,050,706 | 12,195,546 | 14,216,384 | 16,129,610 |
중위소득 190% | 4,544,825 | 7,472,050 | 9,548,171 | 11,585,769 | 13,505,565 | 15,323,130 |
중위소득 180% | 4,305,623 | 7,078,784 | 9,045,635 | 10,975,991 | 12,794,746 | 14,516,649 |
중위소득 150% | 3,588,020 | 5,898,987 | 7,538,030 | 9,146,660 | 10,662,288 | 12,097,208 |
중위소득 120% | 2,870,416 | 4,719,190 | 6,030,424 | 7,317,328 | 8,529,830 | 9,677,766 |
중위소득 100%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중위소득 85% | 2,033,211 | 3,342,759 | 4,271,550 | 5,183,107 | 6,041,963 | 6,855,084 |
중위소득 80% | 1,913,610 | 3,146,126 | 4,020,282 | 4,878,218 | 5,686,554 | 6,451,844 |
중위소득 75% | 1,794,010 | 2,949,494 | 3,769,015 | 4,573,330 | 5,331,144 | 6,048,604 |
※ 중위소득 100% 기준으로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예: 중위소득 75% = 중위소득 100% × 0.75)
2025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별 기준 (단위: 월/원)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교육급여 (50%)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주거급여 (48%) | 1,148,166 | 1,887,676 | 2,412,169 | 2,926,931 | 3,411,932 | 3,871,106 |
의료급여 (40%) | 956,805 | 1,573,063 | 2,010,141 | 2,439,109 | 2,843,277 | 3,225,922 |
생계급여 (32%) | 765,444 | 1,258,451 | 1,608,113 | 1,951,287 | 2,274,621 | 2,580,738 |
※ 수급 자격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이하일 경우 가능했으며, 근로능력, 부양의무자 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합니다.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소득인정액은 소득평가액과 소득환산액을 합산하여 계산했습니다.
소득평가액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 기타 지출비용)
소득환산액
소득환산액 = {(재산의 종류별 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 재산의 종류별 소득환산율
각 가구의 소득과 재산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므로,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구체적인 계산과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했습니다.
소득인정액 모의 계산
소득인정액을 간편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복지로 사이트에서 빠르게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 복지로 공식 웹사이트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 국민기초생활보장 모의계산
이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예상 소득인정액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