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요즘 청년들이 가장 많이 드는 생각 중 하나가 “저축은 해야 하는데, 상황이 바뀌면 유지가 어려워…” 아닐까요? 특히 꼬박 꼬박 달마다 납입해야 하는 저축계좌 같은 경우에 저축 유지가 부담스러울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해지를 고민하기도 하고요. 이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중도해지 시 불이익과 주의사항, 중도해지 대신 쓸 수 있는 대체 방안들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해지 절차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만기해지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지 신청
- 신청 장소:
- 자산형성포털 또는 주민센터
- 제출 서류:
- 해지신청서 + 자금사용계획서
- 제출 시기:
- 만기 6개월 전부터 가능
2. 지자체 승인
- 처리 기간: 보통 3~5일
- 승인 후, 하나은행에 자동 통보
3. 은행 해지
- 지자체 승인 후, 은행에서 해지 처리
- 해지 방법:
- 앱/인터넷뱅킹 불가
- 전화(1599-1111) 또는 지점 방문
- 대리인 해지 시 공증된 위임장 필요
자금 인출 방법
- 정부지원금:
- 입출금계좌로 자동 입금 → 즉시 사용 가능
- 적금 잔액:
- 앱 또는 지점에서 직접 인출
- 전화 해지 후 앱으로 이체 가능한 지점도 있음
필수 서류 체크
- 자금사용계획서:
- 미리 제출했으면 재제출 불필요
- 미제출 시, 해지 신청할 때 꼭 제출
- 용도 증빙자료(영수증 등):
- 의무 제출 아님
- 단, 계획서와 다른 용도 사용 시 환수 가능성
👇자금사용계획서 다운로드👇
주의사항
- 만기 후 6개월 지나면:
- 자동 직권 해지 + 정부지원금 환수
- 대리인 해지 시:
- 공증 위임장 필수
청년내일저축계좌, 중도해지하면 어떻게 될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만기를 채워야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중간에 해지하면? 그냥 끝나는 게 아니라, 받았던 지원금을 다시 토해내야 할 수도 있어요.
1️⃣ 지급해지 – 일부 요건 충족 시, 지원금 일부 수령 가능
조건:
- 소득 증가로 중위소득 100% 초과, 만기 조건을 충족했을때 해지하는 경
- 아래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함
✔ 자산형성 교육 10시간 이상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지급 내용:
- 본인 저축금 + 정부지원금(전액) + 이자 모두 받을 수 있어요.
📌 예시: 연봉이 올라 기준을 초과했더라도 위 조건만 지키면 해지해도 손해는 없어요!
2️⃣ 환수해지 – 조건 미달 시, 지원금 전액 환수
해지 사유:
- 12개월 이상 저축 미납
- 근로 중단 (실직, 장기 휴직 등)
- 자산형성 교육 미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
지급 내용:
- 내가 넣은 저축금 + 이자만 받을 수 있고,
- 정부지원금은 전액 환수됩니다.
📌 예: 퇴사하고 한동안 무직이면, 교육·계획서 제출 안 했다면 → 지원금 전액 몰수!
청년내일저축계좌 지급해지 vs 환수해지 비교표
구분 | 지급해지 | 환수해지 |
해지 사유 | 소득상한 초과, 만기 전 해지 시 요건 충족 | 근로 중단, 12개월 미납, 교육 미이수, 계획서 미제출 등 |
지급 금액 | 본인 적립금 + 근로소득장려금 + 추가지원금 + 이자 전액 | 본인 적립금 + 이자만 지급 |
정부지원금 | 전액 수령 가능 | 전액 환수 |
필요 조건 | 자산형성 교육 10시간 이상 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필요 |
없음 (조건 미달로 인해 환수 처리됨 |
- ✅ 지급해지: 조건만 충족하면 정부지원금 포함 전액 수령 가능!
- ❌ 환수해지: 조건을 못 지켰다면 정부지원금은 전부 환수되고, 본인 저축금 + 이자만 받을 수 있어요.
꼭 해지해야 할까? 해지 대신 쓸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해지하지 않고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적립 중지 제도와 중도인출 제도입니다.
1. 적립 중지 제도
소득이 끊기거나 저축이 어려운 경우, 최대 6개월까지 저축을 일시 중지할 수 있어요.
✅신청 대상: 아래와 같은 정당한 사유로 인해 저축이 어려운 경우
🔹 실직: 고용보험 상실 등으로 근로소득이 없는 상태
🔹 휴직: 병가, 육아휴직, 개인사정 등으로 무급 또는 소득 감소 발생
🔹 질병 또는 사고: 장기간 치료나 회복 기간이 필요한 상황
🔹 출산 및 육아: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경제활동이 일시 중단된 경우
🔹 군 복무 (사회복무요원 포함): 입대 또는 복무로 인해 소득이 없어진 경우
🔹 기타 사유: 가족 간병, 갑작스러운 생활 변화 (이사, 학업 재개 등)로 일정 기간 저축 불가 상황이 발생한 경우
※ 이 경우, 증빙서류 필요에 따라 개별 판단될 수 있음
✅ 주의사항: 중지 기간은 만기 기간에서 제외
→ 6개월 중지 시, 3년 + 6개월 유지해야 함
✅ 신청처: 주민센터 또는 자산형성포털
📌 예시: 갑자기 실직 → 3개월간 중지 후 재취업하면 저축 재개 가능
2. 중도인출 제도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본인 적립금 일부만 뺄 수 있어요.
계좌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 횟수: 만기 전 1회 한정
✅ 조건: 교육 이수, 소득 유지 등 기본 요건 유지 중이어야 함
✅ 신청처: 주민센터 또는 자산형성포털
📌 예시: 등록금 납부 필요 → 일부만 인출하고 계좌는 유지
꼭 기억하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저축이 아닌, 정부가 청년에게 주는 자산형성 기회입니다. 갑자기 상황이 달라졌다고 바로 해지하지 말고, 지원금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먼저 찾아보세요.
👉 특히 교육 이수 + 자금계획서 제출은 웬만하면 미리 해두는 걸 추천!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조건 교육 중복가능 여부
돈 모으기는 참 어려워도 쓰기는 쉬운 세상입니다. 그래서 요즘 청년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정부 지원제도 중 하나가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인데요. 월 10만 원만 저축해도 정부가 최대 30만 원까
mygoal11.tistory.com